NMS는 Network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,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또는 망 관리 시스템이다.
이 말의 의미는 NMS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
그 관리 대상이 네트워크 또는 망이라는 의미이다.
즉, 관리 대상이 네트워크 또는 망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.
말장난 같다는 생각이 들지는 모르겠지만 NMS에서 관리대상의 정의란 매우 중요하다.
그렇다면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
네트워크라는 것은 전산 자원간의 연결 – 전산자원까지 포함해서 - 이다.
즉 “내 PC랑 네 PC랑 연결해서 잘 사용하고 싶어”라는 개념에서
네트워크의 개념이 출발한다고 보면 되겠다.
그렇다면 여기서 네트워크 관리자의 임무는 무엇일까?
네트워크 관리자는 이 네트워크가 잘 운영되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는 사람이다.
그렇다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하는 일을 모두 가져갈 수 있는가?
답은 누구나 예상하겠지만 “NO. 아니오!” 이다.
NMS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하는 일을 대체하기 시스템이라기 보다는
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.
A와 B 두 전산자원을 잘 연결하여 쓰고 있던 어느 날
갑자기 두 전산자원 사이에 연결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였다.
이러한 경우가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다라고 보는 상황이다.
여기서 장애 발생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해 보도록 하자.
첫 번째 전산자원 A를 사용하고 있던 운영자가 전산자원 B에 대한 연결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 연결이 끊어졌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.
두 번째 전산자원 A를 사용하고 있던 운영자가 다른 업무 도중 우연히 연결이 끊어진 것을 발견할 수 있다.
세 번째 전산자원 A 주변을 지나가던 누군가(운영자일 수도 있다)가 우연히 전산자원 A 또는 B에 꽂혀 있던 케이블이 빠진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.
네 번째 네트워크 관리자가 아주 부지런한 사람이거나 아니면 할 일이 없어서 네트워크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다가 연결이 끊어진 것을 발견하는 경우도 있겠다.
그럼 이제 네트워크 관리자가 이 상황을 인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생각해 보자.
첫 번째 상황의 경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시간까지 연결이 끊어진 것을 발견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통보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. 이 시간은 수 초에서 수 시간 또는 수 일이 걸릴 수도 있다. 게다가 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관리 업무와 전혀 상관이 없는 사람인 경우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말을 안하고 있는 경우도 많이 있다.
두 번째 상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. 운영자가 네트워크와 상관없는 업무를 하다가 장애를 인지하는 것을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. 마찬가지로 알고도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전달 않거나 늦게 전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.
세 번째 상황의 경우는 그리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.
오히려 지나가다가 케이블을 건드려 빠지게나 하지 않으면 다행이다.
네 번째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시로 확인하던 도중 발견하면 아주 다행스러운 경우에 해당된다.
네트워크 관리자가 바로 장애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.
네트워크는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의미가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연결이 안되는 상태가 있어서는 안된다. 일단 연결된 망에서 필요로 하는 주된 기능이 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상태를 알고 싶다라는 라는 필요이므로 NMS의 주 기능은 이 장애 관리로부터 시작하게 된다.
'IT업무 > 네트워크관리(NM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NMP, MIB, SMI, RMON, netflow 등등 NMS 관련 용어들... (0) | 2006.02.10 |
---|---|
NMS 개념 - 장애관리 네번째 (0) | 2006.01.27 |
NMS 개념 - 장애관리 세번째 (0) | 2005.12.22 |
NMS 개념 - 장애관리 세번째 (0) | 2005.07.08 |
NMS 개념 - 장애관리 두번째 (0) | 2005.07.06 |